홈 > 학술행사 > 학술회의

 
제목 [2018.6.22] [학술회의] 냉전체제와 북한
첨부파일  

한반도의 냉전체제는 해방 이후에 출현하기 시작해 1953년 휴전이후에 본격적으로 구축되었다. 소련은 1945년부터 북한지역에 사회주의 질서를 주도적으로 전파하였으며, 중국은 한국전쟁을 계기로 북한에 대한 영향력을 확장하였다. 북한정치세력은 국가수립 전후에 소련 등 사회주의진영의 질서를 적극 수용했지만, 전쟁 이후에는 이에 대해 수용․갈등․변용의 방식으로 대응하였다. 특히 1956년에 발생한 조선노동당 전원회의사건은 북한이 사회주의진영과 거리를 두게 된 결정적 계기였다. 그 후 북한은 내부적으로 유일체제를 강화하면서 독자적인 사회주의체제를 구축하기 시작했다.
이 학술회의는 냉전체제가 구축되는 과정에서 북한이 사회주의진영과 주고받은 영향과 상호관계를 해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각 발표는 냉전체제와 북한을 상징적으로 포착할 수 있는 주제를 담은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냉전과 사회주의문화, 냉전과 의학, 냉전과 사회주의경제, 냉전과 과학기술, 냉전과 우주 등을 다루고 있다. 냉전사 연구는 독자적 학문영역으로 확립된 지 오래되었으나, 냉전체제와 북한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시작단계에 놓여있다. 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는 2018년 한반도의 국제질서가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시점을 맞이해 ‘냉전체제와 북한’이라는 주제로 현대 북한체제의 역사적 기원과 성격을 재고하기 위해 이 학술대회를 마련하였다.

냉전체제와 북한

2018년 6월 22일(금) 13:00-18:00
한양대학교 인문대학 404호

13:00-13:10 인사말 : 박찬승(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소장)

13:10-13:50 냉전 초기 북한과 소련의 문화교류
발표 : 김선호(한양대) 토론 : 이세영(연세대)

13:50-14:40 사회주의진영의 대북한 의료지원과 변화(1945-1960)
발표 : 김진혁(고려대) 토론 : 문미라(서울시립대)

14:40-14:50 휴식

14:50-15:40 북한 전후복구 3개년계획의 수립과 소련의 개입 : 말렌코프 ‘신노선(New Course)’의 영향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발표 : 조수룡(서울여대) 토론 : 노경덕(이화여대)

15:40-16:30 냉전기 첸쉐썬(钱学森)의 과학기술론과 사회발전론, 1954-1989
발표 : 채준형(인천대) 토론 : 한상준(아주대)

16:30-16:40 휴식

16:40-17:30 1957년 소련 스푸트니크호의 발사와 북한의 대응
발표 : 류기현(서울대) 토론 : 김도민(서울대)

17:30-18:00 종합토론

[2018.6.22] [학술회의] 냉전체제와 북한 학회 후기 2018-07-27
[2018.08.24] 트랜스내셔널 인문학 학문후속세대 학술회의 -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넘어서> 2018-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