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연구소 소식 > 밖에서 본 연구소
[언론보도] [경향신문 2013.11.05] [역사교과서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한국사, 국가독점형 교육 맞서 시민주도형 민주주의·평화 교육 나서야” | |
[역사교과서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사, 국가독점형 교육 맞서 시민주도형 민주주의·평화 교육 나서야”
“국내에서 벌어진 민간인 학살 문제나 헌법에 국제 평화를 적시하고도 베트남전에 파병한 문제를 현 교과서 체제 아래서 제시할 수 있을까요. 지금 이데올로기 지형에서는 ‘비국민’, ‘비애국’ 같은 말이 남발되면서 논의 자체가 어려운 방향으로 갈 겁니다.”
이명원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의 말이다. 이 교수는 교학사 교과서에서 비롯된 현대사 왜곡 문제나 현 정부의 우경화 문제를 비판하는 게 당장의 현안이라고 여긴다. 그러나 교과서의 분권화, 감수나 검정에서의 자율성을 확대해 교과서 내용도 내셔널리즘이나 국가주의에서 벗어나는 쪽으로 가야 한다고 본다. 이 교수는 참고할 사례로 일본 오키나와에서 시행되는 평화교육을 제시했다. 오키나와는 2차대전 말 20여만명이 사망한 비극의 역사를 갖고 있다. 이 교수는 “오키나와 평화교육의 의미는 전쟁 체험으로 상기한 평화 열망을 학교 현장은 물론 사회 공간 모두에서 강렬하게 의식하는 점”이라고 했다. 오키나와 현 다케토미 섬 교육위원회의 최근 결정은 평화교육의 영향을 보여준다. 위원회는 최근 극우 성향의 이쿠호샤 교과서(중학교 공민) 채택을 거부했다. 이 교과서가 일본군이 오키나와 주민들에게 집단 자결을 강요한 것을 인정하지 않고, 태평양전쟁을 ‘대동아전쟁’이라고 썼기 때문이다. 김정인 춘천교대 교수는 현 정권의 국가독점형 역사교육에 맞서 시민주도형 역사교육을 대안으로 내놓았다. 그는 “‘역사교육의 역사’는 민족주의의 부침과 운명을 같이한 것이 아니라, 민주주의 너울을 타고 넘어왔다. 민주주의 관점으로 사건을 해석하고, 시민들의 미래 삶을 위한 역사교육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평화의 관점에서 이웃 나라와의 평화를 역사로 재구성하는 일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지현 한양대 교수는 일찍부터 탈국사, 탈교과서를 강조해왔다. 임 교수는 “‘국사/동양사/서양사’ 체제는 일본하고 한국밖에 없다. 일본 제국의 유산으로 일본은 ‘국사’라는 말을 없애고 ‘일본사’라고 쓰는데, 한국은 여전히 국사라는 말을 쓴다”고 지적했다. “교과서는 참고 자료일 뿐인데 수학능력시험 때문에 성경처럼 되어버렸다”고 지적한 임 교수는 다음 사례를 하나의 대안으로 이야기했다. “역사 수업은 ‘로컬 히스토리’로 해야 한다. 어느 지역 친구들에게 단군이나 이성계가 무슨 의미가 있겠나. 증조 할아버지의 역사, 사람 사는 이야기에 익숙하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역사 교육 방법을 두고는 이런 제언을 했다. “나치 역사를 공부한다면, 나치 관련 자료를 섭렵하고 자신을 기자라고 생각하고 사건을 서술하는 것이다. 영국에서 이런 방법으로 역사 해석의 감을 익힌다.” 윤해동 한양대 비교역사문화연구소 교수는 교과서 제작의 주체를 교육부에서 교육자치구로 넘길 것을 제안한다. 윤 교수는 “경기교육청이라면 경기도 역사, 상황을 반영한 한국사 교과서를 직접 만들면 된다. 한국사보다 지방사 분량이 많아질 수 있고, 지방사를 반영한 한국사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종목 기자 jomo@kyunghyang.com) <시리즈 끝>
|
[교수신문 2013.10.28] 눈물에 포커스를? … 그것은 어떤 수사학일까 | 2013-11-27 | |
[경향신문 2013.11.05][역사교과서 논란, 무엇이 문제인가] 청와대·국회·사법부 ‘역사개입’ 안돼… 학계서 논쟁하고 정리해야 | 2013-11-27 |